몬테네그로 대통령은 5년 임기로 선출되며, 2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대통령은 몬테네그로를 국내외에서 대표하고, 군대를 지휘하며, 법률을 공포하는 등의 권한을 갖는다. 1943년 니콜라 밀랴니치를 시작으로, 몬테네그로는 인민 공화국, 사회주의 공화국 시기를 거쳐 2006년 독립 이후 필리프 부야노비치, 밀로 주카노비치를 거쳐 2023년부터 야코프 밀라토비치가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몬테네그로의 대통령 - 밀로 주카노비치 밀로 주카노비치는 1962년 몬테네그로에서 태어난 정치인으로, 몬테네그로 총리와 대통령을 여러 차례 역임했으며 친서방 정책을 추진했지만 부패, 권력 남용, 언론 탄압 등의 논란에 휩싸였다.
몬테네그로의 대통령 - 필리프 부야노비치 필리프 부야노비치는 몬테네그로의 정치인으로,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에 입당하여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총리를, 2003년부터 2018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하며 몬테네그로의 독립과 유럽 통합을 이끌었다.
몬테네그로 정부 - 몬테네그로 의회 몬테네그로 의회는 81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몬테네그로의 입법부로서, 법률 제정, 국제 조약 비준, 판사 임명, 예산 채택 등의 권한을 가진다.
몬테네그로 정부 - 몬테네그로의 총리 몬테네그로의 총리는 몬테네그로의 정부수반으로, 1879년 공국 시절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정치 체제에서 존속해 왔으며, 내외 정책 관리, 법률 집행, 각료 임명, 국가 개발 계획 및 예산안 제안, 국방안보위원회 주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몬테네그로의 정치인 - 밀로 주카노비치 밀로 주카노비치는 1962년 몬테네그로에서 태어난 정치인으로, 몬테네그로 총리와 대통령을 여러 차례 역임했으며 친서방 정책을 추진했지만 부패, 권력 남용, 언론 탄압 등의 논란에 휩싸였다.
몬테네그로의 정치인 - 스베토자르 마로비치 스베토자르 마로비치는 몬테네그로의 정치인으로,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대통령을 역임했고, 크로아티아 및 보스니아 시민과의 화해를 위해 노력했으나, 부패 혐의로 체포된 후 세르비아로 망명했다.
몬테네그로의 대통령
기본 정보
야코프 밀라토비치 (2024년)
직함
대통령
국가
몬테네그로
원어 명칭
Predsjednik Crne Gore (라틴 문자) Предсједник Црне Горе (키릴 문자)
몬테네그로 헌법 제94조에 따르면, 몬테네그로 대통령은 법률이 채택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공포해야 한다. 신속 처리 절차에 따라 법률이 채택된 경우에는 3일 이내에 법률을 공포하거나 의회에 재심의를 요구해야 한다. 몬테네그로 대통령은 의회에서 재가결된 법률을 공포해야 한다.
4. 대통령 목록
1943년부터 현재까지 몬테네그로는 다양한 정치 체제를 거치며 최고 지도자의 직함도 여러 차례 바뀌었다.
초기에는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국가 반파시스트 위원회 위원장,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반파시스트 회의 의장 등 전시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는 직함이 있었다. 이후 헌법 제정 의회 간부 회의 의장, 인민 의회 간부 회의 의장, 인민 의회 의장, 공화국 의회 의장을 거쳐 현재의 대통령 직함으로 이어졌다.
1992년부터 2006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내 몬테네그로 공화국으로 존재했다. 1990년대 후반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DPS)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과 결별하고 몬테네그로 독립을 추진했다.
4. 1. 몬테네그로 인민 공화국 (1943-1963)
1943년부터 1963년까지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의 인민 공화국이었다. 이 시기 몬테네그로의 최고 지도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직함을 가졌다.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국가 반파시스트 위원회 위원장 (1943년~1944년): 니콜라 밀랴니치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반파시스트 회의 의장 (1944년~1946년): 니콜라 밀랴니치
헌법 제정 의회 간부 회의 의장 (1946년~1947년): 미로슈 라쇼비치
인민 의회 간부 회의 의장 (1947년~1953년): 미로슈 라쇼비치, 니콜라 코바체비치
인민 의회 의장 (1953년~1963년): 블라조 요바노비치, 필리프 바이코비치
공화국 의회 의장 (1963년): 안드리야 무고샤
이 시기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1952년 이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및 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의 지배를 받았다.
4. 1. 1.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국가 반파시스트 위원회 위원장
Nikola Miljanić
무소속
-
1943년 11월 15일 - 1944년 7월 14일
전시 평의회 지도자
4. 1. 2. 몬테네그로 인민 공화국 헌법 제정 의회 간부 회의 의장
Miloš Raš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46년 11월 21일 - 1947년 1월 1일
colspan="2" |
4. 1. 3. 몬테네그로 인민 공화국 인민 의회 간부 회의 의장
Miloš Raš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46년 11월 21일 - 1947년 1월 1일
colspan="2" |
(1)
--
미로슈 라쇼비치 Miloš Raš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47년 1월 1일 - 1950년 11월 6일
colspan="2" |
2
니콜라 코바체비치 Nikola Kovače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50년 11월 6일 - 1952년 11월 6일
rowspan="2" colspan="2"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 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 (SKCG)
1952년 11월 6일 - 1953년 2월 4일
당명 변경
4. 1. 4. 몬테네그로 인민 공화국 인민 의회 의장
Nikola Miljanić
무소속
1944년 7월 14일
1946년 11월 21일
전시 평의회 지도자
1
미로슈 라쇼비치 Miloš Raš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46년 11월 21일
1947년 1월 1일
(1)
미로슈 라쇼비치 Miloš Rašović
--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47년 1월 1일
1950년 11월 6일
2
니콜라 코바체비치 Nikola Kovače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50년 11월 6일
1952년 11월 6일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 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 (SKCG)
1952년 11월 6일
1953년 2월 4일
당명 변경
4. 2.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1963-1992)
1963년부터 1992년까지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의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다. 이 시기 몬테네그로의 지도자는 공화국 의회 의장과 대통령 평의회 의장 직책을 통해 통치했다.
니콜라 밀랴니치는 1943년부터 1946년까지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국가 반파시스트 위원회 의장과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반파시스트 회의 의장을 역임하며 전시 평의회를 이끌었다.[1]
이후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헌법 제정 의회 간부 회의 의장, 인민 의회 간부 회의 의장, 인민 의회 의장, 공화국 의회 의장 등 다양한 직책을 통해 국가 원수를 선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미로슈 라쇼비치, 니콜라 코바체비치, 블라조 요바노비치, 필리프 바이코비치, 안드리야 무고샤 등이 있다.[1]
4. 2. 1.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공화국 의회 의장
Nikola Miljanić
무소속
1943년 11월 15일 - 1946년 11월 21일
1944년 7월 14일까지는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국가 반파시스트 위원회 위원장, 이후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반파시스트 회의 의장 역임. 전시 평의회 지도자.
1
미로슈 라쇼비치 Miloš Raš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46년 11월 21일 - 1950년 11월 6일
1947년 1월 1일까지 헌법 제정 의회 간부 회의 의장, 이후 인민 의회 간부 회의 의장 역임.
2
니콜라 코바체비치 Nikola Kovače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1952년 11월 6일까지)
3
블라조 요바노비치 Blažo Jovan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 (SKCG)
1953년 12월 15일 - 1962년 7월 12일
4
필리프 바이코비치 Filip Bajk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 (SKCG)
1962년 7월 12일 - 1963년 5월 5일
5
안드리야 무고샤 Andrija Mugoša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 (SKCG)
1963년 5월 5일 - 1967년 5월 5일
4. 2. 2.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 평의회 의장
Nikola Miljanić
무소속
1943년 11월 15일
1944년 7월 14일
전시 평의회 지도자
-
니콜라 밀랴니치 Nikola Miljanić
무소속
1944년 7월 14일
1946년 11월 21일
전시 평의회 지도자
4. 2. 3.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
Nikola Miljanić
무소속
—
1943년 11월 15일 - 1944년 7월 14일
전시 평의회 지도자
몬테네그로 인민 해방 반파시스트 회의 의장
—
니콜라 밀랴니치 Nikola Miljanić
무소속
—
1944년 7월 14일 - 1946년 11월 21일
전시 평의회 지도자
헌법 제정 의회 간부 회의 의장
1
미로슈 라쇼비치 Miloš Raš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
1946년 11월 21일 - 1947년 1월 1일
colspan="2" |
인민 의회 간부 회의 의장
1
미로슈 라쇼비치 Miloš Raš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
1947년 1월 1일 - 1950년 11월 6일
colspan="2" |
2
니콜라 코바체비치 Nikola Kovače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PJ)
—
1950년 11월 6일 - 1952년 11월 6일
rowspan="2" colspan="2"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
1952년 11월 6일 - 1953년 2월 4일
인민 의회 의장
2
니콜라 코바체비치 Nikola Kovače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
—
1953년 2월 4일 - 1953년 12월 15일
colspan="2" |
3
블라조 요바노비치 Blažo Jovan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
—
1953년 12월 15일 - 1962년 7월 12일
colspan="2" |
4
필리프 바이코비치 Filip Bajković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
—
1962년 7월 12일 - 1963년 5월 5일
colspan="2" |
공화국 의회 의장
5
안드리야 무고샤 Andrija Mugoša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KJ)
—
1963년 5월 5일 - 1963년 7월 7일
colspan="2" |
4. 3.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2006)
1992년부터 2006년까지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일부로서 몬테네그로 공화국이었다. 1990년대 후반,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DPS)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과의 관계를 끊고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1]
웹사이트
Infographic: What are the Monthly Salaries of Presidents in the Region – Sarajevo Times
http://www.sarajevot[...]
Sarajevo Times
2018-02-25
[2]
뉴스
Crna Gora dobila novi Ustav
http://www.cafemonte[...]
Radio Antena M
2007-10-20
[3]
문서
Preliminary results (first round)
https://dik.co.me/wp[...]
State Electoral Commission of Montenegro
2023-03-20
[4]
뉴스
Pogledajte rezultate izbora po opštinama: Milatoviću 221.592, Đukanoviću 154.769 glasova
https://www.rtcg.me/[...]
RTCG
2023-04-03
[5]
웹사이트
Infographic: What are the Monthly Salaries of Presidents in the Region – Sarajevo Times
http://www.sarajevot[...]
Sarajevo Times
2018-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